오산(542m)
일시: 2016.03.20일 08:10분 사하구청 앞 출발 차량이동시간: 2시간40분 소요
이동거리: 9.5km 산행시간: 4시간50분(11:00출발-15:50분 하산)
코스: 동해마을(동해슈퍼)-민개갈림길-능괭이갈림길-동주리봉-배바위-동해삼거리-솔봉고개-솔봉-전망바위-선바위갈림길-자래봉-매봉-오산-사성암-쉼터정자-돌탑-죽연주차장
↓ 동해마을 등산들머리
↓ 능선 이정표
↓ 능괭이 갈림길
↓ 등산지도
↓ 등산 트랙지도
↓ 등산기록
↓ 동주리봉
↓ 동주리봉 팔각정
↓ 동주리봉에서 당겨본 사성암
↓ 배바위
↓ 능선에서
↓ 동해 임도 갈림길
↓ 멀리서 본 선바위
↓ 선바위 갈림길
↓ 매봉 정상
↓ 오산 정상 정자에서
↓ 지리산을 마주보는 자라 모양의 산이라고 하여 오산이라 한다
↓ 도선국사가 수도를 하였다는 사성암의 도선굴
↓ 사성암 배례석에서 내려다본 섬진강과 구례읍 들녘
↓ 산왕전(산신각)
↓ 사성암 암벽(소원바위)
↓ 사성암은 여느절과 달리 넓은 마당이없다 대신 가파르게 올라가는 돌계단이 독특한 풍경을 만들어낸다 바위 하나하나가 부처님의 법처럼 암자 아래로 구례,곡성 평야가 한눈에 펼쳐지고 멀리 지리산이 발굼치 아래 놓인듯하다 소원을 빌어보는 마음은 다르지 않을까한다 가족 건강을 비는 소박한 염원,사업 번창을 담은 내용등 뗏목을 팔러 하동으로 내려간 남편을 기다리다 지쳐 세상을 떠난 아내와 아내를 잃은 설움에 숨을거둔 남편의 애절한 전설이깃든 소원 바위이다
↓ 지장전 입구
↓ 지장전 : 불신충만 어법계--부처님은 온 법계에 가득차 있으며
보현일체 중생전--모든 중생들 앞에 항상 나타나시네
이항처차 보리좌--이곳 보리좌에 항상 않자 계시며
수연부감 미부주--인연따라 다달아 두루 보살펴 주시네
↓ 요사채 벽에걸린 "염화미소판화"인데 아홉번 터치 만으로 부드러운 부처의 미소를 그려내고있다
↓ 약사전 전경
사성암은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의 말사이다 544년(백제 성왕22)조사 연기가 창건하여 오산사라고 불렀으나 그뒤 신라의 원효대사, 의상,고려의 진각국사와 도선이 이절에서 수도를 하였다하여 이들 네 스님을 기려 사성암이라 고쳐 불렀다 1630년(인조8)중건 하였으며 1939년 이용산이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있다 사찰 일원은 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33호로 지정 되어있고 건물로는 인법당만이 있으며 유물로는 도선이 조각하였다는 마애불이있다
↓ 마당에서 올려다본 유리광전(약사전)
↓ 유리광전(약사전)안에 마애약사여래불상이 있는데 약사여래불에 기도를하면 마음에 고통이 없어지고 모든 재앙이 물러간다고 하여 약사 기도를한다 간절한 마음으로 원을세워 사성암 약사여래 부처님께 기도하면 병든사람,생활이 어려운 사람 등 누구나 그 업장이 소멸하여 마음이 편안해지고 건강이 회복되어 뜻한바가 모두 성취 된다고한다
↓ 마애약사여래불상은 높이 20m가넘는 벼랑의 암벽이 ㄷ자형을 이루고있는 그 안쪽 암벽에 조각 되어있다 높이 3.9m로 주형거신 광베에 두광이 있으며 소발의 머리에 육계가 솟아있다 얼굴의 모양은 원만하며 눈과 양미간 코,입 등은 선각으로 간략히 나타 냈으나 그 기법은 옛 전통을 따랐다 목에는 삼도가있고 수인은 오른손을 들어 중지를 잡고 왼손은 손가락을 벌려 가슴앞에 대고있는데 아미타 수인으로 보인다 법의는 통견인데 전체적으로 파상문을 이루고있어 사실적으로 나타 내려고 한것으로 보인다 특히 군의자락 밑으로 나타난 발등은 양각으로 표현하여 양감이 없으며 다소 도식적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법은 아마 "도상의 불꽃무늬"불신을 중앙에놓고 대칭으로 새긴 거신광의 인동 무늬와 함께 매우 인상적이다 조성 연대는 고려초기 10-11세기로 비록 음각으로 새겨진 불상이지만 군의에 나타난 파상문 발 등의 사실적인 표현과 얼굴에서 풍기는 인상등이 고려 시대에 조성된 다른 불상보다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된다 아쉽게도 이 마애약사여래불상은 원래 암벽에 조각 되어있어 자연스럽게 볼수 있었으나 지금은 약사전을 지어 약사전 불상뒤편 벽으로 볼수 있게하였다
↓ 사성암에서 내려다본 섬진강
↓ 올려다본 약사전과 암벽
↓ 하산길에 만나는 돌탑들
↓ 구름속으로 비치는 햇살과 산수유
'나의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척산(김해) (0) | 2016.04.05 |
---|---|
백두대간 우두령-추풍령(김천,영동) (0) | 2016.03.28 |
와룡산(사천) (0) | 2016.03.16 |
금산(남해) (0) | 2016.03.10 |
백두대간 추풍령-큰재(영동,상주) (0) | 2016.03.08 |